티스토리 뷰
목차
놓치면 손해! 모든 군민에게 20만 원씩 지급되는 민생활력지원금, 어떻게 신청해야 할까요?
요즘 물가도 오르고 생활이 빠듯하다는 이야기 많이 들리죠? 그래서 반가운 소식 하나 가져왔어요.
바로 곡성군에서 전 군민을 대상으로 20만 원 상당의 민생활력지원금을 지급한다는 건데요! 저도 이 소식 듣고 한걸음에 확인했답니다.
특히, 지금처럼 지역경제가 얼어붙은 시기에 이런 지원이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 다들 공감하실 거예요. 자, 그럼 이번 지원금, 누가 받을 수 있고, 어떻게 신청하는지 하나하나 알려드릴게요.
지원금 지급 대상은 누구?
가장 먼저 궁금하신 건, "나는 받을 수 있을까?"일 텐데요. 지급 기준일인 2025년 3월 6일 오후 7시 기준으로 곡성군에 주소를 두고 있고, 그 이후부터 신청일까지 계속 거주한 주민이라면 신청 가능합니다.
영주권자와 결혼이민자도 포함되며, 기준일 이전 출생자 중 출생신고를 신청 전에 완료한 경우 역시 지원 대상이에요. 쉽게 말해, 곡성에 실제 살고 계신 분이라면 대부분 해당된다고 보시면 돼요.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이번 민생활력지원금은 1인당 20만 원이 지급됩니다. 지급 방식은 지역화폐인 '곡성심청상품권'으로, 지류 형태로 제공돼요.
구분 | 지급내용 |
---|---|
지급 금액 | 1인당 200,000원 |
지급 형태 | 곡성심청상품권 (지류) |
신청은 누가, 어떻게 하나요?
지원금은 세대주가 한 번에 일괄 신청할 수 있고, 본인이 직접 신청하는 것도 가능해요. 단, 미성년자는 본인이 직접 신청할 수 없다는 점 꼭 유의하세요.
- 세대주가 가족 구성원 전체를 대신해 신청
- 개인도 본인 명의로 단독 신청 가능
- 미성년자는 반드시 세대주가 대신 신청
신청 일정 및 접수 방법
신청은 두 차례로 나누어 진행됩니다. 1차는 마을 방문 접수, 2차는 읍·면사무소 방문 접수로 나뉘며, 각각의 신청기간이 정해져 있어요.
구분 | 신청일정 | 접수방법 |
---|---|---|
1차 | 3월 17일(월) ~ 3월 21일(금) | 읍·면별 마을 방문 접수 |
2차 | 3월 24일(월) ~ 4월 18일(금) | 읍·면사무소 방문 접수 (1차 미지급자 대상) |
신청 장소와 유의사항
신청은 반드시 주소지 읍·면사무소의 민생활력지원금 접수처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주민등록상 주소지 기준으로 접수해야 하며, 다른 읍·면에서는 신청할 수 없어요.
특히 신청 기간이 끝난 후에는 추가 신청이 불가하니, 반드시 기한 내에 접수해 주세요!
꼭 확인해야 할 체크포인트
✅기준일인 3월 6일 19시 이후에도 계속 곡성군 거주 중인지 확인
✅미성년자는 반드시 세대주를 통해 신청할 것
✅신청 장소는 반드시 주소지 읍·면사무소 접수처로 방문
자주 묻는 질문(FAQ)
Q 누구나 신청 가능한가요?
네, 기준일 이후 계속 곡성군에 거주 중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영주권자와 결혼이민자도 포함됩니다.
기준일인 3월 6일 19시 기준으로 곡성군에 주소를 두고 있으며 신청일까지 계속 거주한 경우에 해당돼요.
직접 신청은 어렵지만 세대주가 대신 신청하면 가능합니다.
미성년자는 본인 신청이 불가하므로 세대주가 일괄 신청해야 합니다.
네, 반드시 기한 내에 신청하셔야 해요.
1차와 2차 접수 기간 중 한 번이라도 신청하지 않으면 지급이 불가하니 주의하세요.
영주권자와 결혼이민자라면 가능합니다.
영주권(F-5) 소지자나 결혼이민(F-6) 비자 소지자는 신청 가능합니다.
주민등록증 등 본인 확인 서류가 필요해요.
본인 확인을 위한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을 반드시 지참해 주세요.
곡성심청상품권 가맹점에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합니다.
곡성군청 홈페이지 또는 읍·면사무소에서 가맹점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어요.
이렇게 곡성군 민생활력지원금 신청 방법부터 지급 대상, 신청 일정까지 하나하나 정리해봤어요. 요즘 같은 때 이런 지원은 정말 고마운 일이죠. 저도 가족들 챙기면서 신청하려고 날짜 맞춰서 메모까지 해뒀답니다.
아직 신청 안 하신 분들, 꼭 잊지 말고 해당 기간 내에 신청하셔서 20만 원 지원 혜택 받으시길 바랄게요. 혹시 주변에 이런 정보 잘 모르는 어르신들 계시면 살짝 알려드리는 센스도 발휘해주시구요!